본문 바로가기
열대어

우드 쉬림프(Atyopsis moluccensis) 키우기: 자생지부터 어항 환경 구성까지 완벽 가이드

by 대담[Bold] 2025. 5. 26.
반응형

담수어항을 운영하면서 조화로운 생태계와 유용한 청소 생물을 원한다면, 우드 쉬림프는 눈여겨볼 대상입니다. 우드 쉬림프(Atyopsis moluccensis)는 열대 아시아 자생의 대형 여과성 새우로, 흡입이 아닌 ‘걸러먹기’를 하는 독특한 식성을 가집니다. 그만큼 환경 조성, 먹이 공급, 수질 유지에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우드 쉬림프의 자생지, 생태적 특징, 번식 조건, 어항 조성 요건, 먹이 구성과 주의사항까지 실질적으로 정리합니다.


목차

  1. 우드 쉬림프의 분류와 학명
  2. 자생지 및 생태적 습성
  3. 번식 조건과 실제 재현 가능성
  4. 어항 내 최적 환경 조건
  5. 먹이 습성 및 급이 요령
  6. 유의사항 및 질병 관리
  7. 마무리: 여과형 쉬림프를 선택하는 이유

1. 우드 쉬림프의 분류와 학명

  • 학명: Atyopsis moluccensis (De Haan, 1849)
  • 속명(Atyopsis): Atyidae(민물새우과)에 속하는 여과형 새우 속
  • 별칭: Bamboo shrimp, Fan shrimp, Asian filter shrimp
  • 분류:
    • : Arthropoda
    • : Malacostraca
    • : Decapoda
    • : Atyidae

우드쉬림프의 부채
우드쉬림프의 부채 팔
우드쉬림프의 모습
우드쉬림프


2. 자생지 및 생태적 습성

우드 쉬림프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스리랑카 등 동남아시아 열대 지역의 급류 하천과 개울에서 서식합니다.

  • 서식 환경:
    • 강한 유속이 흐르는 자갈·암반 지대
    • 수질이 깨끗하고 용존산소량이 높음
    • 플랑크톤과 유기 부유물 다량 존재

우드 쉬림프는 강한 앞다리에 부채 모양의 여과수를 가진 “필터 피더(Filter feeder)”입니다. 이를 펼쳐 유속에서 미세입자를 걸러 먹는 독특한 생태 방식을 가집니다.


3. 번식 조건과 실제 재현 가능성

우드 쉬림프는 민물에서 사는 성체와는 달리, 번식에는 기수(鹹水, brackish water) 환경이 필수입니다.

  • 산란 방식: 암컷이 체내에 수백 개의 알을 보유
  • 유생 단계: 해수 또는 기수에서 30~45일 이상 부유 생활
  • 사육환경 번식 가능성:
    • 일반 민물어항에서는 번식 불가
    • 기수/해수 조성, 부유성 먹이 공급 등의 고난도 환경 필요

→ 따라서 가정용 어항에서는 번식보다 수명 유지에 집중하는 방식이 현실적입니다.


4. 어항 내 최적 환경 조건

항목 권장 수치
수온 24~28°C
pH 6.5~7.5
GH 5~10 dGH
KH 3~8 dKH
유속 중간 이상 (펌프 수류 필수)
수조 크기 최소 60cm (유영 공간 확보용)
동거 가능 생물 온순한 소형어 (테트라, 라스보라, 코리도라스 등)

 

❗ 강한 유속이 없을 경우 스트레스와 섭식 불능으로 폐사 가능 → 반드시 파워헤드, 산소 공급, 유속기 필수 설치


5. 먹이 습성 및 급이 요령

여과 섭식의 기본

우드 쉬림프는 여과섭식을 통해 부유하는 미세 유기물을 먹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

  • 수조 내 미세입자 발생원
    • 부화된 알테미아, 마이크로웜, 분말 사료, 인퓨소리아
    • 고형 사료를 부수어 수류에 뿌리는 방식
  • 추천 사료
    • Hikari First Bites, Bacter AE (Microbe Lift 계열), Shrimp King Baby 등
    • 칼슘/키토산 강화 사료로 탈피 안정성 확보
  • 급이 방법
    • 수류가 있는 방향에서 직접 뿌려 공급
    • 스포이트 급이 또는 유속 라인 상급이 권장

6. 유의사항 및 질병 관리

  • 탈피 실패: 칼슘 부족 또는 pH 급변 시 → 탈피 불완전, 사망
    • → 주 1회 키토산/칼슘 보충제 급여 또는 Cuttlebone 삽입
  • 스트레스 반응
    • 수류 부족 시 벽면 등반, 먹이 거부
    • 수질 급변 시 즉각 은신처로 숨음
  • 병해
    • 박테리아성 감염(흰반점, 붕괴 등)은 드물지만 치명적
    • 새우 치료제는 민감하므로 자극 없는 수질 안정이 우선
  • 합사 주의
    • 시클리드류, 베타, 플레코 등 공격적 어종과의 합사는 금지

7. 마무리: 우드쉬림프를 선택하는 이유


우드 쉬림프는 부채처럼 펼쳐지는 독특한 여과 팔을 이용해 물속 플랑크톤을 채집하는 이색적인 모습으로 단숨에 시선을 끕니다. 최대 12cm에 이르는 크기와 유려한 움직임은 어항 내에서 강한 존재감을 발휘하며, 은은한 갈색부터 녹갈색까지 환경에 따라 변하는 바디 컬러는 위장 효과와 함께 자연미를 더합니다.

조용히 유목 위에 정지한 채 물결을 타듯 부채를 흔드는 모습은 마치 수중 명상을 연상케 하며, 관상용으로도 뛰어난 가치가 있습니다.

 

그러나, 우드쉬림프는 단순히 장식용 수생생물이 아닙니다.
자연 하천 생태의 미세한 균형을 재현하는데 필수적인 여과성 섭식 생물이며, 제대로만 키운다면 수조 내 수질 유지, 생물 다양성 강화, 시각적 흥미 제공의 3박자를 갖춘 존재가 됩니다.

초보자에게는 도전이 될 수 있지만, 여과기·먹이·수류만 안정적으로 구축된다면, 가장 안정적이고 독창적인 쉬림프 사육 경험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